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방법 상세하게 알아봅시다
- 부동산
- 2020. 3. 21. 01:02
토지란 쉽게 표현하자면 땅입니다.
과거에는 이 토지 즉 땅을 일구어 농사를 짓고 곡물을 키워 살아왔지만 이제 토지를 그런 의미로 받아들이기에는 세상이 너무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손 꼽히는 IT강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이 토지의 정보와 이용방법을 아주 상세하게 무료로 온라인상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본인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거나 소유 예정인 토지가 있다면 토지의 정보와 이용방법을 미리 알아두어야 해당 토지의 가치를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글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방법 상세하게 알아봅시다를 통하여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을 어떻게 검색하고 어떤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지 상세히 알아보고 내 땅 혹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땅이 있다면 그 땅의 가치는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보시기 바랍니다.
▼ 먼저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방법은 포털사이트 메인 페이지 검색창에서 1번 부분과 같이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을 입력한 후 2번 부분처럼 가장 먼저 나오는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에서는 주소 또는 도로명을 입력하거나 지도상에서 정보 열람을 원하는 토지를 직접 찾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주소로 찾기탭에서 해당 토지의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열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부분에 정보 열람을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고 2번 부분의 열람을 클릭합니다.
필자는 영등포구 양평동에 위치한 임의로 정한 주소를 입력해보았습니다.
▼ 해당 주소의 토지정보가 아래와 같이 보여집니다.
해당 토지에 대한 정보를 1~7번까지 어떻게 열람하는 것인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번 부분은 해당 토지의 용적률과 건폐율입니다.
해당 탭을 클릭하시면 새 창이 열리면서 상세하게 보여 주지만 용적률과 건폐율의 정확한 수치는 알려주고 있지 않습니다.
새 창의 제목 하단에 지구단위계획 등 상세 규제는 담당부서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빨간색 문구가 보입니다.
해당 토지의 정확한 용적률과 건폐율은 오른쪽 화살표 부분의 해당 구청 도시계획과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 2번 부분의 도시계획을 클릭하시면 마찬가지로 아래 이미지와 같은 새 창이 열리며 해당 토지와 그 주변 토지들의 도시계획이 어떻게 예정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계획을 세우거나 매매를 계획하고 있다면 아주 중요한 정보 중에 하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과거에는 이런 정보를 소수만이 알고 있어 땅 투기도 가능했고 내 땅을 매매한 뒤 바로 개발되어 매매한 것을 땅을 치며 후회하신 분들도 많았습니다.
실제로 과거 필자가 업무 상 만난 어느 의사분이 본인의 병원을 크게 신축하고 싶은 마음에 땅을 샀는데 그 땅이 얼마 지나지 않아 역세권으로 바뀌게 되어 땅을 판 매도인이 좋은 학교 나온 의사니까 인맥을 통해 미리 이런 정보를 알고 사들인 게 아니냐며 오랜 시간 거칠게 항의하여 곤란해하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 의사분이 본인은 그런 정보를 미리 알지 못하고 땅을 샀다고 강하게 필자에게 어필하셨기에 진실을 알 수는 없었지만 의사분께서는 그 땅을 결국 병원을 신축하지 않고 오피스텔을 신축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땅을 매매하기 이전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을 해본다면 그럴 일은 없을 것입니다.
▼ 3번 부분 지목에서는 해당 토지의 지목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필자가 임의로 정해본 양평동의 토지는 대지입니다.
간략하게 대자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대자 우측의 물음표를 클릭하시면 대지란 어떤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지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 4번 부분 면적에서는 해당 토지의 실면적을 알려줍니다.
제곱미터(㎡) 단위로 보여 주기 때문에 해당 토지면적 곱하기 0.3025를 하셔서 평단위를 구하시거나 귀찮으시면 각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단위환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쉽게 평단위를 구하실 수 있습니다.
▼ 5번 부분에서는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인 개별공시지가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아 토지이용계획을 확인 후 개별공시지가 열람사이트에서 별도로 알아 보아야 했는데 이제는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에서 한눈에 볼 수 있어 상당히 편리합니다.
더욱이 개별공시지가 우측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연도별 개별공시지가를 새 창에서 열람할 수 있어 정말 편리합니다.
그러나 4번 면적 부분과 마찬가지로 제곱미터(㎡) 단위로 보여주고 있어 평단위로 보시려면 직접 환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습니다.
▼ 6번 부분에서는 해당 토지의 도면과 범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7번 부분의 도면 크게 보기를 클릭하시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도면을 새 창에서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의 1~7번 부분까지 열람하신 후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하단에서 해당 토지의 지역, 지구 등 안에서의 행위제한내용의 관련법규 조항들을 상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위제한 내용이 많고 복잡하여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의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지만 알고 싶으시다면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의 행위제한 정보 탭으로 들어가신 후 해당 토지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토지이용범위에 본인이 건축을 원하는 건축물의 용도를 입력합니다.
필자는 오피스텔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우측의 열람을 클릭하면 하단 화살표 부분에 가능 여부가 나옵니다.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방법은 설명하다보니 글은 길었지만 짧은 시간내에 여러 정보를 종합적으로 열람할 수 있는 상당히 편리한 시스템입니다.
현재 보유한 토지의 개발이나 매매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을 통하여 본인의 토지는 어떠한 상황인지 면밀히 검토한 후 실행에 옮기시길 바랍니다.
이번 글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검색방법 상세하게 알아봅시다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