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여기서 쉽고 빠르게
- 생활 정보
- 2021. 10. 18. 18:39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쉽고 빠르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의료복지 체계가 잘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 대한민국에서는 대상자만 된다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언뜻 무료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국민들인 우리가 내는 세금으로 받는 것이기에 챙겨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검진은 짝수 연도에는 짝수 년생이 홀수 연도에는 홀수 년생을 대상으로 만 19세~만 64세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라면 받을 수 있습니다.
2021년도의 경우 출생연도가 홀수인 예를 들어 1987, 1989년생인 사람들이 건강검진 대상자입니다.
건강검진은 연령대에 따라 일부 검사 항목도 달라지기 때문에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를 통해 본인이 어떤 항목들의 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와 방법 그리고 건강검진 검사 항목들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검진 대상자
일반 건강검진은 직장가입자, 지역 세대주, 만 20세 이상의 세대원 또는 피부양자, 만 19세~만 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해당되는 사람이 대상자입니다.
출생연도 짝, 홀수를 기준으로 2년에 한 번씩 받게 되어 있으며 직장인이라면 사무직은 2년마다 비사무직은 1년마다 건강검진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직장인 건강검진은 의무사항이지만 기타 종합검진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2. 건강검진표
건강검진 해당 연도의 대상자들은 주민등록 주소지로 건강검진표가 우편으로 발송되며 네이버 전자 문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건강검진표가 전자 문서로 발송됩니다,
건강검진표를 수령하지 못했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표전화로 전화하여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직장가입자의 경우 대상 여부가 사업장으로 통보되므로 해당 사업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연도 건강검진 대상자로 확인되는 사람은 신분증을 지참하여 건강검진기관에 바로 방문하여 검진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3.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할 수 있으며 연령대에 따른 검사 항목도 알아볼 수 있어 편리하니 건강검진표를 우편으로 받지 못했다면 편리하게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먼저 포털 사이트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 후 선택합니다.
▼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라는 것이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로그인 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상단의 로그인 탭을 이용합니다.
▼ 공동, 금융 인증서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며 공동, 금융 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 시 미리 인증서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1번의 로그인 메뉴 중 현재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로그인하거나 인증서 외에 다른 로그인 방법이 없다면 2번의 인증서 등록을 통하여 인증서 등록 후 로그인을 합니다.
▼ 로그인 후 국민건강보험공단 메인 페이지 하단에 보이는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메뉴를 선택합니다.
▼ 본인의 금년도 건강검진 대상자 해당 여부와 암검진 대상자 해당 여부가 상세히 조회가 됩니다.
4. 검사항목
건강검진 검사 항목은 공통 검사 항목과 성, 연령별 검사 항목이 있으며 암검진의 경우 연령 기준, 검진 주기 및 비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공통검사 항목
- 진찰, 상담,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랼지수, 시력, 청력, 혈압측정
- AST(SGOT), ALT(SGPT), 감마지피티
- 공복혈당
- 요단백, 혈청 크레아니틴, 혈색소, 신사구체여과율(e-GFR)
- 흉부방사선촬영
- 구강검진
성, 연령별 검사항목
- 이상지질혈증(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 남자 만 24세 이상, 여자 만 40세 이상, 4년 주기(남자 만 24세, 28세, 32세....여자 만 40세, 44세, 48세....만 해당)
- B형 간염검사(만 40세, 보균자 및 면역자는 제외)
- 치면세균막검사(만 40세)
- 골다공증(만 54, 66세 여성)
- 정신건강검사, 우울증(만 20, 30, 40, 50, 60, 70세)
* 해당 연령을 시작으로 10년 동안 1회
- 생활습관평가(만 40, 50, 60, 70세)
- 노인신체기능검사(만 66, 70, 80세)
- 인지기능장애검사(만 66세 이상 2년에 1회)
* 만 66세 이상, 2년 주기(만 66세, 68세, 70세....만 해당)
암검진 연령기준 / 주기 / 비용
- 위암(비용 10%) : 만 40세 이상 남녀 증상에 관계없이 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 진행(위장조영검사로 대체 가능)
- 대장암(비용 없음) : 만 50세 이상 남녀 1년마다 분변 잠혈검사(FOBT)를 받은 후 양성 판정자일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 진행(대장이중조영검사 대체 가능)
- 간암(비용 10%) : 만 40세 이상 남녀 중 간암 발생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경우 상반기 1회, 하반기 1회 6개월마다 간 초음파 검사, 혈액검사 진행
- 유방암(비용 10%) : 만 4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유방촬영 검사 진행
- 자궁경부암(비용 없음) : 만 2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자궁경부 세포 검사 진행
- 폐암(비용 10%) : 만 54세~만 74세 이상 남녀 중 폐암 발생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2년마다 저선량 흉부 CT검사, 사후 결과 상담 진행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원하는 건강검진은 검사 항목이 적은 편이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들의 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결코 가볍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건강검진 해당 연도 대상자라면 꼭 받으시길 권하며 이번 글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여기서 쉽고 빠르게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