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을 알아보자

반응형

유산균이라는 단어는 정말 많이 들으며 살아 온 것 같습니다.

유년 시절 부터 지금까지 정말 수많은 유산균 제품의 광고를 보거나 들어 왔고 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에 대한 TV를 비롯한 많은 매스미디어의 프로그램들을 보아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정확히 대답을 하지 못합니다.

이 번글 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을 알아보자를 통하여 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은 어떠한지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먼저 유산균을 대표하는 유산균 효능은 한마디로 장 건강에 유익한 균입니다.

유산균은 우리 몸속 중 장 속안에서 활동하는데 장 속안의 해균박멸에 힘을 써 장 운동을 촉진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람의 장 속에는 여러가지 균이 존재하는데 대장균, 포도상구균과 같은 유해균과 유산균 같은 유용균이 있으며 유해균과 유용균의 어느 한쪽이 강하게 될 경우 강한쪽으로 가세하게 되는 중간균으로 크게 나눕니다.

흔히들 들어 보았을 비피더스균이 유용균을 대표하는 장내 유산균이며 락토바실리스, 아시도루스균 등도 유용균에 속합니다.

그래서 유용균인 유산균을 증식시켜야 장내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것입니다.

유산균은 젖산균이라고도 하는데 젖산을 만들어 장내 환경을 산성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 내 유산균을 증식시키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평소 우유나 치즈 등의 유제품이나 된장, 김치 등의 발효식품과 같이 유산균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균 효능 첫 번째는 건강한 장을 만들어 주는 효능입니다.

장내를 산성으로 조절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여 변비를 예방하며 장 벽 선모에 있는 영양흡수세포의 영양소흡수작업을 활성화시켜 줍니다.

또한 장내 흡수가 어려운 철과 칼슘 등의 무기질을 장이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바꾸어 줍니다.

유해균을 생성하게 만들고 번식을 막아 장벽을 강화시켜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을 억제합니다.

그리고 장속 독성물질을 해독하여 노화, 염증, 궤양 등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유산균 효능 두 번째로는 변비 개선입니다.

유해물질이나 발암물질을 분해하여 대변을 통해 체외로 배설 시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나 만성장질환 등의 증상은 유산균으로 인하여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유산균 효능 세 번째로는 심혈관질환의 예방입니다.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소화 흡수를 조절하며 소화관과 간장, 신장, 뇌 등에서 작용하는 효소를 활성화 시켜 장기의 기능을 보전해주기 때문에 고혈압이나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능을 보입니다.

 

 

 

 

 

 

건강한 사람의 장 속은 유산균 같은 유용균이 유해균 보다 우세합니다.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부적절한 식생활과 스트레스, 피로와 수면 부족 그리고 고령화, 항생제 남용 등으로 인하여 장내 세균의 균형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내 세균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유산균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한 물질대사의 이상이 생기게 되니 평소에 꾸준하고 균형 잡힌 식사로 장내 환경을 유산균이 우세한 상태로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나 치즈, 요구르트 등에 들어 있는 유산균은 소의 유산균이기 때문에 사람의 장속에는 정착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유제품은 꾸준히 정기적으로 섭취하며 나이가 들수록 섭취량을 더욱 늘려야 합니다.

 

 

 

 

 

 

우리의 몸에 이렇게 이로운 작용을 하는 유산균도 부작용은 있습니다.

섭취 시 배가 아프거나 불편함을 있을 수도 있으며 복부팽만과 설사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과다섭취하면 심장내막염이나 패혈증도 유발할 수도 있다니 적정복용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에게 이로운 유산균을 꾸준하고 정기적으로 적정복용량을 섭취하여 장내 건강을 지키시기 바라며 이번 글 유산균 효능과 부작용을 알아보자를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